MENU

(재)전북특별자치도
문화관광재단
아르떼맵
전북문화예술교육 자원지도

전라북도의 문화예술교육을 한눈에!

함께 만드는 문화예술교육,
함께 누리는 문화예술전북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예술교육 자원지도

Resource map

도내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기관 및 단체 관련 정보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2건의 데이터가 있습니다. 완주 학생 혁신도시에 피어나는 예술 꽃 향기 놀토(노는 토요일)가 당연스럽게 여겨지는 현재 아동, 청소년들에게 주말이라는 특별함과 환상이 사라졌다는 생각이 든다. 학업스트레스를 풀 수 있는 유일한 시간인 주말에 혼자 혹은 가족, 친구들과 매번 똑같은 시간을 보낸다. 맞벌이를 하는 부모들의 부재로 학교를 가는 평일보다 어쩌면 더 지루하고 따분한 토요일을 보내게 될지도 모른다. 토요일만큼은 학교 밖으로, 집 밖으로 나와 즐길 수 있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운영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또한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아동, 청소년기의 아이들은 다양한 스트레스로 인해 신체와 정신이 비정상적으로 발달하고 있다. 지난 몇 년간의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를 진행하면서 아이들은 나 자신의 소중함과 부모님, 친구들, 선생님, 이웃주민들과의 관계 및 소통의 방법을 알게 되었다. 또한 나, 가족, 친구, 동네주민들과 함께 춤을 추고 놀면서 서로를 이해하고 배려하는 청소년으로서 성장하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며, 예술활동을 통해 자신의 미래를 꿈꾸고, 설계하고, 그려 나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아이들에게 스스로의 삶을 돌아보고 사람들과 함께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참된 삶, 행복의 의미를 알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분야 : 무용 단체 : 문화대장간 초연 주소 : 전북 완주군 오공로 11-13 604호 URL : 12mingu21@gmail.com
완주 학생 음악과 나 1. 무심하게 지나치지만 삶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음악의 존재. 음악은 타임머신이 되어 나를 어떤 기억으로 인도할 수도 있고, 어떤 감정으로 인도할 수도 있다. 음악을 매개로 듣고, 사색하고, 대화하고, 표현하는 과정을 통해 청소년의 마음의 위로와 격려가 되는 프로그램이 되고자 한다. 2. 악기와 음악을 배우는 과정에서 약속된 음표와 쉼표를 개입시키지 않고 좀더 단순하게 소리를 표현하는 수단으로서 다루어보는 시간을 통해 청소년들이 삶 속에서 예술과 음악을 사유하는 방법을 함께 고민하고 예술 도구(악기)에 대한 고민을 함께 해보고자 한다. 3. 도구에 갇혀 있는 소리를 바깥으로 끌어내는 과정과 우리의 몸을 음악의 소재로서 활용하는 방법을 함께 고민하고 각자의 방식으로표현하고 편집하는 과정을 통해 학생과 강사가 함께 새로운 앙상블을 만들어내 보고자 한다.
분야 : 놀이활동 단체 : 치다 주소 : 전북 완주군 고산면 고산천로 854-7 URL : chi-da@naver.com
X
↑